doctoral course /entrepreneurship 썸네일형 리스트형 크리스텐센의 저서 크리스텐센 혁신이론가이다.- 성장과 역사- 혁신의 딜레마 유명하다. 근데 '성장과정의 흐름'을 다루지는 않는다. 최근 책 냈다.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의문사항 정리! - 왜 휴맥스는 SCM에 빠질 수 밖에 없냐? 왜 절실하냐? 그 무렵에 왜 그 문제가 오냐?- 그 매출액 수준에서 SCM가 왜 이슈가 되나? 이와 같은 질문을 가설로 만들 수 있다.!!!! 더보기 루틴(routine) Routine - 성과를 낸다고 할 때 보통 routine을 다루지는 않는다. 보통 routine을 다루는 논문은 진화론에서 출발한다. - 넬슨&윈터(1982)의 글이 기업을 진화적 관점에서 다루는 초기 논문이다. 한 기업이 잘된다면 왜 그럴까? 왜 잘되는 것일까?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다. 변화, 혁신, 관리(SCM, 생산 등)상의 이유가 그렇다. 하지만 그런것과는 별개로 개인에게 해당하는 습관처럼 유사한 부분이 있을 것이다. 그건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으니까(routine) 그러니까 진화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즉 routine은 내적인 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분석이 까다롭다. 그래서 Agent-based-method를 사용한다. 이러한 연구의 관심의 주제는 변수가 아니라 행위자가 된다 .. 더보기 entrepreneurship에 대한 첫 수업... 2013. 9. 12 in the Class 창업에 특화되어 있는 스탠포드 대학 + 첨단기술과 합하여 entrepreneurship 강조기업가를 만드는 요소를 실용적 의미에서 찾아야 함 (수익을 어떻게 얻느냐, know-how를 알아야 함) 왜 한국은 실패한 기업가를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나 환경이 아닐까.- 한국은 기업가의 형상이 매우 복잡하다.- 기업가를 존경하지 않는 문화에서는 기업가의 꿈을 꾸지 않는다. 한국의 경영학교육과정의 문제- 기업가 탄생, 정신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다.- 우리는 '경영자'에 대한 얘기를 하지 않는다. ex) 매출이 1조원이 되는 회사에서 광고비를 200억을 집행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새로 시작하는 기업에게 아무런 의미도 주지 못한다. 창업기업에게는 의미없는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