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issues /(business) ethics 썸네일형 리스트형 실적 따로 연봉 따로..'억' 소리 나는 금융 CEO 실적 따로 연봉 따로..'억' 소리 나는 금융 CEOSBS | 송인호 기자 | 입력 2013.11.13 20:30 | 수정 2013.11.13 21:50 금융회사 최고경영자들의 억 소리 나는 연봉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실적이 좋지 않아도 회장들 연봉은 무풍지대입니다. 송인호 기자입니다. 조정호 전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은 지난해 성과급 89억 원과 배당금을 합쳐 모두 136억 원을 받았습니다. 지주사 회장 외에 계열 증권사와 보험사의 비상근 회장으로 등재해놓고 각각 연봉을 받은 겁니다. 미처 못 받은 성과급 50억 원이 있었지만, 최근 국정감사에서 증인 채택 논란까지 일자 포기의사를 밝혔습니다. [메리츠금융지주 관계자 : 몇 년 치 성과급을 이렇게 이연해서 (나눠 지급) 하는 부분이라서 좀 많이 산정된 .. 더보기 Deontological ethics (의무론적 윤리): 비결과주의, 법칙론 Deontological ethics (의무론적 윤리): 비결과주의, 법칙론 인생의 목적을 믿는 대신 시공을 초월하여 인간인 이상 누구나 지켜야 할 타당한 행위의 법칙이 있다고 믿는 윤리학설이다. deontological은 '의무'라는 뜻의 그리스어 deon과 '과학'이라는 뜻의 logos에서 유래하였다. 한 행위의 옳고 그름은 결과의 좋고 나쁨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종류나 행위자의 동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어떤 행위가 의무나 도덕법칙과 일치하면 옳고 위반되면 그르게 된다. 철학에서 의무와 인간행동의 도덕성 사이의 관계를 특별히 강조하는 윤리학 이론을 뜻한다. 의무론은 논리학과 윤리학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이 이론은 특정한 도덕적 의무를 설명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의무론적 윤리학에서 어떤 행.. 더보기 Teleological ethics (목적론적 윤리학): 결과주의 인터넷에 정리된 글들을 읽고 엮어서 재정리한 내용입니다. 윤리문제는 기업에게도 매우 중요하기에 일단 윤리학의 일반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Teleological ethics (목적론적 윤리학): 결과주의 인생 또는 우주 전체에 우리가 실현을 위해 전력해야 할 객관적인 목적이 있다는 신념을 그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목적에로의 부합 여부에 따라 행위의 선악이 결정된다.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 무엇이냐?'라는 근본문제를 바탕으로 행위의 옳고 그름이 결과의 좋고 나쁨에 의존한다는 이론이다. 만약 한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할 경우 좋은 결과를 낳는다면 그 행동은 도덕적으로 옳다고 주장한다. 어느 경우든 결국 그 행동을 옳거나 또는 그르게 하는 것은 바로 그 행동이 갖는 결과의 좋음과 나쁨이다. 옳고 그름 행동의 .. 더보기 철학 내에서 윤리학의 위치 윤리학은 역사적으로 볼 때 다른 분야의 학문들과의 관계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그러므로 윤리학을 바로 이해하려면 다른 분야들과의 관계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데 윤리학은 특히 신학,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윤리학은 오랫동안 철학과의 관계 속에서 발전해 왔다. 철학은 인간의 온갖 지식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학문 중의 학문이다. 그러므로 철학의 연구 대상은 자연과 인간의 초자연 모두를 포함하며 특히 인격의 3분야 지정의(知情意)와 인생이 추구하는 가치의 3방면 진선미(眞善美)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도덕 철학의 전통적인 접근 방법은 인간에게 행동 지침을 제공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인다. 플라톤(Platon B.C.472-347)은 모든..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