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연구를 진행할 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 중 외부 최신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할 때, 어디에서 그러한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지 몰라서 헤매는 경우와 설문항목을 작성하고자 할 때, 어떤 표현으로 어떻게 작성하는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1. 경험적 근거없이 이론적으로 설명을 하면 연구내용의 설득력이 떨어진다. (개념적 고찰을 하는 연구도 근거자료는 최대한 제시해야 한다.)
2. 그렇다면 자료를 어디서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그것도 능력이다.
3. 자료를 찾아서 온라인 상에서 그대로 분석이 되면 편리할 수 있겠다. (SPSS와 같은 패키지를 설치하고 활용하기 이전에 간단한 것은 그대로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4. 설문조사는 온라인에서 바로 설문을 작성해서 취합하여 기본적인 분석을 하면 편할 수 있다.
이상의 요구와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www.ksdcdb.kr 을 활용 !!
* 단, 여기서 통계자료의 검색 및 이용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정부는 국가승인통계를 전 국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의무가 있다. 따라서 인터넷 검색을 하면 우선 찾을 수 있다.
- 제일 우선적인 방법은 www.kosis.kr 에 접속하여 찾아본다. 이곳는 국가승인통계의 절반가량이 제공된다.
- 둘째, 부처별 site를 검색하는 것인데 그냥 검색하면 어디서 그러한 자료가 나오는지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google에서 "기관명 통계"로 검색하면 바로 검색해서 찾을 수 있다. (예) "노동부 통계" 와 같은 식이다.
- 통계자료를 매우 빨리 인용하는 신문기사를 활용한다.
따라서 naver - 뉴스탭 - "아동학대 통계" 를 통해 기사들을 쭈욱 살펴보다가 표, 그래프 등이 보이는 기사는
그 기사를 클릭하여 본다. 원래 소스가 보이면 예를 들어 여가부 홈페이지를 살펴봐야 하는데 어렵다.
그래서 ksdc db에서 잘 모아놨고 이를 활용하면 된다.
그런데
(구)한국사회과학도서관에서도 유사한 자료를 제공한다. KSDC와는 자료가 중첩되지 않으니 보완적으로 활용하면 된다.
www.kossda.or.kr
설문조사 내용을 찾으려고 하는 경우에
보통 학술논문 본문에는 설문조사 내용이 빠져있다. 그래서 설문지를 찾기가 어려우나 학위논문은 부록에 설문지를 포함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학위논문을 검색하면 설문지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RISS에서 검색을 하는데 검색키워드와 함께 "인식 / 태도 / 실태 / 조사" 등의 검색어를 함께 입력하면 설문을 돌린 자료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ㅇ www.prism.go.kr 을 통해서 정책연구용역검색 서비스를 활용한다. 이 중에서 최종결과보고서를 검색하면 도움이 된다.
ㅇ www.korea.kr 에서 정책브리핑 - 아카이브 - 전문자료 - 유형별 - 연구자료 - 찾아보면 도움이 된다.
[KSDC DB활용법]
이 곳에서 자료를 찾으면 .sav 파일로 열린다. 이는 SPSS 자료파일이 된다. 따라서 설치파일을 열어서 확인할 수도 있고 바로 온라인 분석을 통해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E-STAT)
분석을 하면 그림도 그릴 수 있고 바로 이미지로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표를 한글파일에 그대로 가져가 붙일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구조방정식은 불가능하다.
(조사자료 탭, 통계자료 탭, 온라인 통계분석 탭, 온라인 설문조사 탭 모두 활용가능)
* world value survey 활용가능 (예를 들어 미국에 비해서 한국의 행복도가 떨어진다 라고 하면 전세계적으로 국가별 비교가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 온라인 이용교육을 활용할 수 있다.
- 설문항을 작성하는 법 (my survey tap), 연구용 조사
[ICPSR 자료 활용]
미국의 자료조사 홈페이지 (www.icpsr.com)
이곳에서는 general social survey를 활용할 수 있다.
- search / compare variables 에서 설문항 검색 및 비교가 가능하다.
'doctoral course > research methodolog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설명과 주요 통계 패키지 (0) | 2014.02.21 |
---|---|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0) | 2013.12.09 |
내생성(endogeneity) 문제의 해결방법 (0) | 2013.06.22 |
논문에서 보여주는 '표'를 이해하려면, (0) | 2013.06.22 |
통제변수, 다중공선성, 내생성 (0) | 201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