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octoral course / research methodology

ACTION RESEARCH 란?


현장연구는 "현장교사나 동료교사나 대학연구자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교육실천을 스스로 체계적, 반성적으로 탐구하여 개선하는 것"을 근본적 특징으로 한다(강신복, 최의창, 1994; 최의창, 1993). 교육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정의를 하고 있다. Oberg 와 McCutcheon(1987)는 자신들이 하는 일을 보다 잘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이거나 나은 상태로 개선시키려는 목적으로 자신이 하는 일들에 초점을 맞추는 전문가들에 의한 모든 형태의 체계적 연구(p. 117)라고 하며, McKernan(1987)는 교사로 하여금 어떤 상황속에서 발생한 문제를 보다 잘 이해하고 해결하도록 하는 일정의 자기반성적 문제해결방법(p. 6)이라 했다. Kemmis와 McTaggart(1988)는 어떤 상황내에서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의 합리성과 정당성을 증진시키며, 그 일과 문제상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상황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하는 참여자들의 집단적인 자기 반성적 탐구의 한 종류(p. 5)라고 했다. 

"현장연구"의 명칭을 처음 만들어냄 사람은 미국의 사회 심리학자인 Kurt Lewin 이다. Lewin(1946)은 문서만을 생산해내는 연구는 불충분하다고 하면서, 사건이 진행되는 실제 사회적 상황과 구성원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가 제안했던 연구 모형은 "개선계획마련 - 실천 - 결과파악"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순환싸이클로 구성되었다. Lewin이 제시한 현장개선연구 모형은 그와 그의 제자들이 당시 콜롬비아 대학 사범대학 학장이었던 Stephen Corey 등과 같은 교육자들과 함께 연구를 시작하면서 교육계 내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후 10여년간 부흥기를 맞이하다가 그와 같은 연구가 서서히 모습을 감추기 시작하다가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영국의 교육학자 John Elliott의 팀이 "Ford Teaching Project"를 시작으로 현장연구가 중요한 교육적 아이디어로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활동을 탐구하는 작업에 교사들을 '공동연구자로 참여시켰다. 이 연구과정을 통하여 Elliott가 채택한 "자기관찰적 교사"(Self-monitoring teachers)의 개념은 Lawrence Stenhouse(1975)가 주장한 "연구자로서의 교사" 또는 "교사 연구자"(teacher as researcher)의 아이디어를 근거로 한 것이었다. 


Elliott의 노력을 선두로 영국에서는 현장개선연구의 이론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어 왔다. 이러한 관심으로 이제 오스트레일리아와 유럽에서도 진행되고 있으며, 그리고 미국에서도 다시 되살아나고 있다.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특정한 관점을 취하는 학자들이 빅토리아주에 소재한 Deakin 대학을 중심으로 현장개선연구에 대한 독특한 접근방법을 발전시켜 왔다. 이들은 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삼고 Kurt Lewin이 제안한 '순환싸이클'을 개선하여 방법적 모형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이 '현장연구'의 접근 방법으로 연구자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미국의 80년대 초부터 '반성적 수업(Reflective teaching)'을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현장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인정받고 있다.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현장연구의 아이디어가 현직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주로 이용된 것에 반해, 미국에서는 주로 전직 교사교육에 사용할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이 시기에 가장 활발히 현장연구의 아이디어를 연구하고 사용해온 연구자는 Wisconsin 대학의 Kenneth Zeichner로서, 미국 내 유명 사범대학의 교수가 된 제자들이 점차로 현장연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저변 확대를 넓혀 가고 있다(Tabachnich와 Zeichner, 1991; Stevenson과 Noffke, 1990). 특히, 현장연구 방법은 많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의 현장실습시 즐겨 이용되고 있다. 매년 개최되는 미국 교육학회에서도 이 아이디어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현장개선연구모임"이 조성되어 정보교류와 협동연구를 도모하고 있다. 




(출처: http://cafe.daum.net/therapy22/89vA/28?docid=2754507316&q=action%20research&r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