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octoral cours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에 대한 첫 수업...

2013. 9. 12        in the Class    


창업에 특화되어 있는 스탠포드 대학 + 첨단기술과 합하여 entrepreneurship 강조

기업가를 만드는 요소를 실용적 의미에서 찾아야 함 (수익을 어떻게 얻느냐, know-how를 알아야 함)


왜 한국은 실패한 기업가를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나 환경이 아닐까.

- 한국은 기업가의 형상이 매우 복잡하다.

- 기업가를 존경하지 않는 문화에서는 기업가의 꿈을 꾸지 않는다.


한국의 경영학교육과정의 문제

- 기업가 탄생, 정신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다.

- 우리는 '경영자'에 대한 얘기를 하지 않는다.

   ex) 매출이 1조원이 되는 회사에서 광고비를 200억을 집행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새로 시작하는 기업에게 아무런 의미도 주지 못한다. 창업기업에게는 의미없는 이야기다.

- 시작하는, 창업하는 기업에 대한 얘기가 있어야 한다.





'doctoral course > entrepreneurship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텐센의 저서  (0) 2013.11.02
루틴(routine)  (0) 201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