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있는 자료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조직론에 관심이 있다면 가장 중요한 개념인 '조직'에 대해서 한번쯤은 정확하게 정리를 해 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조직의 개념
∙조직이란 일반적으로 혼돈된 상황에 질서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조직한다’는 것은 구성원의 행위를 예측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을 뜻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 만들어진 결과 구조가 '조직'이다. 이러한 조직은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인공적이며 목적 지향적인 구조배열이며 관리의 한 과정이자 도구가 된다.
1. 조직의 정의
따라서 중요한 것은 목적, 집단, 구조가 조직의 핵심요소이다. 다음은 각 학자들이 조직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다.
∙막스 베버 : 계속적이고 의도적인 특정한 종류의 활동체제로 목적과 경계 그리고 공식적 구조화의 과정 을 갖는 것.
∙파아슨: 특정한 목적을 가진 사회적 시스템.
∙에치오니: 고전이론과 인간관계론을 연계시키는 구조론자들의 견해로 공식적으로 분화된 구조, 권력의 중추와 통제활동, 조직목표, 구성원과는 대별되는 조직의 실체 등, 일정한 환경하에서 특정한 목표를 추구하며 이를 위해 일정한 구조를 지니는 사회적 단위.
∙틸만과 킥패트릭: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거나 어떤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서 개인들이 체계적이고 효과 적으로 협동하도록 하는 집단.
∙힉과 굴렛: 목적달성을 위해 인간들의 상호작용하는 일종의 구조화된 과정
∙쉐인: 공통의 명시적 목적 내지 목표달성을 위해 노동과 기능의 분화를 통해서 그리고 권한과 책임의 계층을 통해서 많은 사람의 활동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것.
∙로빈: 분업 및 권한의 계층을 통해 공통 목적 내지는 일련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 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두 사람 이상의 집단활동의 계획된 조정체계.
∙쿤츠와 베르히: 조직에 대해 업무간에 일련의 관계를 지닌 시스템 또는 패턴, 집단구조, 두사람 이상의 합동, 집단 내 모든 참가자들의 행동, 공식적으로 조직된 집단구조 내에서 역할의 의도 적인 구조.
2. 조직의 특징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직의 중요한 속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복수의 개념☞조직은 많은 개인이 모여서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단체이다. 따라서 1인으로는 조직이 불가능하다.
② 일반적으로 계층구조를 가진다.☞계층구조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그 형태에 관계 없이 조직내에는 구조가 존재한다.
③ 추구하는 사명이나 목적을 가지고 있다.☞목적이 없으면 조직이 아니다. 공동의 목적이 수반되어야 한다.
④ 사명을 달성하기 위해 고유한 운영법칙이나 규율을 가진다.
⑤ 수명이 있다.☞조직이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면 규모가 커지고 수명 또한 연장되는 반면 목적달성에 실패하게 되면 규모가 줄거나 도산 또는 파산하여 생명을 다하게 된다. (유기체적 조직의 특성이다.)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준이나 규칙, 규율 등을 갖게 되는데 그 목적을 사회가 받아들이고 운영이 효과적, 효율적이면 조직은 계속에서 살아남을 뿐만 아니라 성장. 발전을 지속 할 것이고 그 목적을 사회가 받아들이지 않거나 운영이 비효과적, 비효율적이라면 조직은 더 이상 존재할 수 없게 됨.
3. 조직의 목적
정의 :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미래의 상태 즉 조직의 미래상이다.
1)조직목적의 기능
①조직지침으로서의 기능: 조직목적이란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상태이므로 조직 의 운영과 활동을 위한 방향 및 지침을 제공함.
②정당성 근거로서의 기능: 조직목적은 사회 속에서 조직이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그 활동의 근거와 정당성을 나타내는 일종의 조직신념이자 철학임.
③효과성 평가기준으로서 기능: 조직목적은 구성원 물론 외부인으로 하여금 조직이 목적달성을 얼마만큼 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고 효과성과 능률성을 평가하는 평가 기준으 로 사용 될 수 있음.
④기획으로서의 기능: 조직목적은 바람직한 미래상이기 때문에 구성으로 하여금 미래지향적인 사고와 행 동양식을 갖게 함으로써 관리과정 중 기획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갖음.
2)조직목적의 유형
(1)공식적 목적과 실질적 목적
∙공식적 목적: 조직이 공식적으로 내세우는 목적으로 조직의 직제 형태나 책임자의 선정으로 나타남.
∙실질적 목적: 조직이 행동을 통해 실제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을 말함.
(2)상위목적과 하위목적
∙상위목적: 조직전체가 달성해야하는 목적으로 대부분이 추상적임.
∙하위목적: 상위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적, 단계적 목적으로 대부분 구체적임.
(3)무형목적과 유형목적
∙무형목적: 내용이 추상적인 목적이 그 주류를 이룸.
∙유형적 목적: 내용이 구체적이고 계량화가 가능한 목적이 그 주류를 이룸.
'main issues > general organization '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wer distance에 대하여... (0) | 2013.02.11 |
---|---|
organizational culture (2) (1) | 2013.01.22 |
organizational culture (1) (1) | 201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