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경영 사례연구
PHILIPS의 지속가능경영
필립스는 전기전자산업의 기업 중 DJSI(Dow Jones Sustainable Index)에서 선정하는 지속가능경영의 수준이 가장 앞선 것으로 인정 받는 회사임
지속가능경영(CSM: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을 경영시스템에 도입하고 대외적으로 천명하고 있는 회사가 전세계 700여 기업이 넘는 가운데 DJSI에서 2년 연속(2003, 2004년도)으로 전기전자산업에 속한 기업 중 지속가능성 수준이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된 필립스의 사례는 살펴볼필요가 있음
각 사에서는 지속가능경영의 도입에 대한 인식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앞으로 선택사항이 아닌 기업의 생존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는 매우 중요한 기업경영의 의사결정 사안이 될 것임
본문 내용은 전사적 관점에서 지속가능경영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려 할 때에 유용한 사례로서 활용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기술되었음
1. 조직
¥ 필립스는 최고의사결정기구에 지속가능경영의 경영의사결정을 책임지는 멤버가 존재하고 있으며 다음 그림과 같은 체계로 의사결정이 실제 업무수행조직과 연결되고 있음
▷ Group Management Committee(GMC)의 의장역할을 하는 경영이사회(Board of Management)는 각 제품부문의 경영위원회와 Site조직의 최고경영책임자, 연구개발책임자, 재무책임자, HR책임자, 법무책임자, Communication/지속가능경영책임자 모두가 포함이 됨
▷ 이 경영이사회 하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위원회(Sustainability Board)가 존재하며 의장은 GMC의 책임자가 맡게 됨
▷ 이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본사 스탭부서의 각 부문 책임자와, 생산 Site의 책임자, 전세계 조직의 지역책임자로 구성되며 이 위원회 책임자들은 전사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 업무보고를 하는 것과 병행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제품부문[1]의 최고경영자에게도 보고를 하도록 되어 있음
▷ 이와 같은 경영층의 의사결정 조직의 하부조직으로 실질적인 지속가능경영의 수행 및 성과관리를 위한 실행조직이 구성되어 있는데Sustainability Network이 바로 그러한 역할을 수행함
▷ 이 실행 조직의 구성원도 Sustainability Board와 마찬가지로 본사 스탭조직의 실무 책임자와 제품부문의 멤버가 함께 속해있으며 ‘사무국’형태의 조직으로서 Corporate Sustainability Office를 운영하고 있음
▷ 즉 Corporate Sustainability Office에서 모든 지속가능경영업무를 총괄/수행하면서 전세계에 퍼져있는 조직의 Key Member를 Network 형태로 운영하여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하게 되어 있음[2]
▷ Corporate Sustainability Office의 개략적인 업무범위는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음
- 외부 트렌드 분석
- 이해관계자 관리
- 지속가능경영 정책 및 실행 프로그램 총괄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및 내부 성과 모니터링
▷ 최근에는 구매파트의 지속가능성 이슈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며 이에 따라 Sustainability Board에 경영위원회 구성원 수준의 임원인Chief Procurement Officer를 포함하였음
¥ 실행조직인 Corporate Sustainability Office의 구성 및 업무범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우선 Corporate Sustainability Office 아래에는 5개의 Division에 Environmental / Sustainability Competence Center를 두고 있으며 각 조직의 인원은 5명으로 이루어져 있음
▷ 각 Division에 있는 Environmental / Sustainability Competence Center의 인원은 전문가로 구성되어 국내 기업에서 주로 관심을 갖고 있는 ‘환경관리’업무는 전혀 하지 않고 있으며[3] 크게 Internal Tasks와 External Tasks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Internal Tasks
Supply chain management: 원자재 공급업체 유해물질 관리
Product development: 친환경 제품개발
Product strategy & marketing: 친환경 제품전략 및 마케팅
- External Tasks
NGOs: NGO 활동에 대한 대응 및 기업이미지 제고
Consumer associations: 소비자들에 대한 대응
Public relations: 공공단체와의 관계
2. 리더십
필립스는 회사의 Vision에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지를 담고 그들의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함을 천명하고 있음
▷ In a world where technology increasingly touches every aspect of our daily lives, we will be a leading solutions provider in the areas of healthcare, lifestyle and enabling technology, aspiring to become the most admired company in our industry as seen by our stakeholder à 기업의 궁극적 목표에이해관계자들에 의해 존경받는 기업으로 인식되는 것을 명시하고 있음 à 지속가능경영의 기본 concept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Mission으로는 기술혁신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음
▷ We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through the timely introduction of meaningful technological innovations
¥ General Business Principles(GBP)의 제정/운영[4]
▷ GBP는 회사의 모든 활동에 기본이 되는 근본적인 원칙으로 재무부문의 투명성과 구매활동의 윤리성에 관점을 둔 Financial Code of Ethics와 Purchasing Code of Ethics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 2003년도 이후에는 NGO, ILO에 대한 부분이 추가되면서 환경, 사회적 책임, 윤리, 재무적 성과, 인권에 대한 모든 사항이 하나의 방침으로 통합되고 있음
▷ 이밖에 필립스에는 Sustainability Policy라는 명칭으로 30여 년 전에 경영진에 의해 환경적 책임에 대한 실행지침(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는데 이 지침을 기본으로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대한 전사적 기본방침으로 이용되고 있음
3. 전략방향
¥ 필립스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전략적 경쟁우위의 분야를 Healthcare와 lifestyle로서 크게 2가지로 설정하고 있음
¥ 두 가지 사업영역에서 삶의 질 향상과 고객의 행복을 달성해주는 것을 표방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방향으로 5가지 전략방향을 명시하고 있음
▷ 전략방향 1 : 수익성 개선
- We will increase profitability through re-allocation of resources towards opportunities offering more consistent and higher returns
▷ 전략방향 2 :브랜드가치 제고 및 핵심역량 강화
- We will leverage the Philips brand and core competencies in healthcare, lifestyle and technology to grow in selected categories and geographies
▷ 전략방향 3 : 비즈니스 상의 고객 및 공급업체와의 파트너십
- We will build partnerships with key customers and suppliers, both in the business-to-business areas
▷ 전략방향 4 : 혁신을 위한 투자
- We will continue to invest in maintaining world-class innovation and leverage our strong IP position
▷ 전략방향 5 : 생산성 확대
- We will drive productivity through business transformation and operational excellence
4. 주요 활동 – 환경관련 활동
¥ PHILIPS – wide product safety policy :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원칙운영 중, 이 원칙의 적용여부에 대해서 (5개의) 생산 Division은 교차 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 EcoVision Program / Green Flagship
▷ EcoVision Program[5]은 매년 제품부문별 하나의 Green Flagship제품을 내놓을 것을 요구하고 있음
▷ Green Flagship은 에코디자인 프로젝트의 최종 목적으로 Green Focal Area[6]측면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혁신제품을 생산하여 EcoVision Program에서 요구하는 수준인 ‘각 생산부문별 일년에 한 제품 이상의 Green Flagship 획득’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음
¥ EcoDesign Activities
▷ 제품개발 시 위에 언급한 5가지 Green Focal Areas에 중점을 두어 친환경제품개발 활동을 실시하고 있음
¥ Cleaner Technology
▷ 제품 내 유해물질 최소화: 30년 전부터 유해물질 저감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04년도 Cross-product Division 조직을 가동하여 사용제한 물질에 대한 리스트를 확정/공유하여 사용제한 물질에 대한 리스트를 확정
▷ 공급업체까지 이 리스트를 공유함
¥ 공급업체 관리 – 관리원칙으로 Supplier Declaration on Sustainability을 표방하고 있으며 공급자관리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EcoVision 2002~2005프로그램에서 공급자의 환경이슈관리를 포함하고 나아가 공급업체와 공동으로 지속가능경영 선언을 실시하였음
¥ 지구온난화 대응활동
▷ 1980년대 초부터 에너지 저감활동 추진
▷ 직접요인(생산 중 화석연료의 사용)과 간접요인(전기의 사용), 소비단계(제품사용 시 에너지 소비)와 관련한 에너지 저감활동으로 구분하여 실시
5. 주요 활동 – 사회책임 활동
¥ 종업원의 지위에 대한 원칙 수립 – 2003년도에 Responsible Transformation within Europe을 발간하여 시장상황에 따른 직무이동 및 구조조정에대한 고용원칙으로 활용하고 있음
¥ European Philips Forum 운영 – 1996년도유럽지역에서 경영진과 연간 2회 미팅을 갖고 고용관련 이슈에 대한 회의를 시행해 오고 있음
¥ 직장 내 여성의 고용수준 및 지위향상에 대한 노력으로 현재 중간관리자 이상의 여성경영진 비율이 5% 수준이며, 향후 5년 이내 10%수준을목표로 하고 있음 (전체 근로자 중 여성 비율은 38%)
¥ 인권 및 근무여건에 대한 노력
▷ 2004년도에 전세계 필립스 조직의 근무지에 대한 안전보건관리정책을 재검토하였음
▷ 또한 2004년도에 TFT를 조직하여 인권과 관련된 핵심 사회적 정책에 대한 개선/검토를 실시하였고 2005년도에 트렌드를 반영하여 재검토하였음
▷ 그 결과 근무시간 손실율은 약 2.4%이며 그 중에서 단지 6%만이 직업성 질환으로 발생한 Lost Work Time으로 판명됨
¥ 직무만족 및 능력개발에 대한 활동
▷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충성도에 대한 Survey를 전세계 필립스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1994년 이래로 5회를 실시하여 격년 주기로조사하고 있음 (1994, 1996, 1999, 2001, 2004) – Employee Engagement Index를 사용하여 근로자의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대체로 만족하고 있음
▷ 직원의 능력개발을 위해 33 Generic Core Curriculum 코스를 운영하여 2004년도에는 5,000명이 참가하였음
▷ 특히 마케팅, 영업, 회계, IT, HR, 구매관련 기능교육을 2004년에 개발 운영 중이며 만족도 조사도 실시 중임
▷ 그 결과 근로자가 팀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의견이 회사에 받아들여지고 동등한 기회제공을 받는 것에 만족하는 비율이 54%수준에 달함
¥ 이해관계자 관련 활동
▷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를 전담하기 위한 GCS(Global Consumer Service) Organization을 별도로 운영하며 동시에 조직 내 Consumer Division에서 소비자 관련업무를 수행함
▷ 지역사회에 대한 다양한 활동을 실시함에 있어서 그 활동 내용의 기본 Concept은 회사 제품의 특성 및 비즈니스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방향으로 설정하여 전 세계 지역사회활동의 기본원칙으로 공유함
▷ 필립스는 ‘교육’ 과 ‘보건’이라는 주제를 지역사회 공헌활동의 기본 원칙으로 삼는데 이것은 비즈니스의 특성을 고려[7]한 것일 뿐 아니라 기업의 비전/미션 측면에서도 고려되고 있는 분야임
▷ 전세계적인 지역사회 공헌활동의 총 금액은 2004년 현재 900만유로를 사용
5. 맺으며
¥ 필립스의 다양한 환경/사회적 활동과 LG 자매사의 활동을 비교해 생각해 보면 개별활동을 진행하는 면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고 단지 필립스가 약간 먼저 시작해서 앞서 있는 정도로 인식됨
¥ 하지만 그 활동의 속내를 살펴보면 중요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환경/사회적 책임활동들이 개별 부서의 활동계획 중심으로 단기적 성과를 쫓아서 수행되는가 아니면 경영층의 전략적 의지를 바탕으로 전사적으로 통합 추진되는가에 관련되는 차이점일 것임
¥ 결론적으로 이러한 환경/사회적 활동은 개별기업의 접근으로 그 효과[8]를 보기가 어렵다는 것임
¥ 기업의 비재무적 리스크의 효율적 관리와 함께 무형자산 가치의 중요성이 날로 중요해지는 현대 경영환경의 추세를 고려해 볼 때도 역시 기업의 환경/사회적 활동의 전사적 통합전략 추진은 매우 필수불가결한 방향으로 보이며 이러한 경영 패러다임은 바로 Triple Bottom Line으로대변되는 지속가능경영의 모습이라고 판단됨
[1] 필립스에서 생산하는 제품종류는 Lighting, Consumer Electronics (audio/video), Monitors (branded and OEM), DVD Recorders, Steam Irons, Dental Care (electric toothbrushes), Semiconductors, Medical Imaging Equipment로 세분화 할 수 있으며 제품 Division은 총 5개로서,
- Consumer Electronics
- Medical System
- Lighting
- Semiconductors
- Domestic Application & Personal Care
[2] Sustainability Network는 조직의 각 운영 부분의 직원들로 구성되어 지속가능성의 전략 수립과 구체적 추진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고 있음
[3] 환경관리 업무는 각 생산site에서 해당 규제에 대해 자체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전사적인 차원에서 관리업무를 다루고 있지 않음
[4] 필립스는 또한 전사적 공유가치(Value)와 경영철학(Philosophy)를 제정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공유가치: Delight Customer, Deliver on Commitments, Develop People,
Depend on each other
- 경영철학: Sustainability
[5] 제품 개발단계부터 제품의 환경성을 고려한 설계, 생산, 처리에 중점을 두고 친환경제품을 시장에 공급하는 필립스 전체의 친환경상품계획/활동을 말하며 이는green marketing과 연계되어 Green Flagship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제품 개발단계에서는 EcoDesign Activities로서 구체적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6] 5가지 측면의 친환경활동의 성과를 인정하는 분야를 규정한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Weight
- Hazardous Substances
- Energy Consumption
- Recycling and Disposal
- Packaging
[7] 한 가지 예로서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제3세계 지역에서는 필립스제품인 전구를 학교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비즈니스적 접근과 함께 교육을 통한 사회공헌의 컨셉을 충족시키고 있음
[8] 여기서의 효과란 환경/사회적 활동의 결과로 얻어지는 경제적 성과의 개념을 의미함
'academic thinking > old columns and something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적 업무평가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2006) (0) | 2013.01.18 |
---|---|
후지쯔의 환경회계 (0) | 2013.01.18 |
유럽 각 국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인식 (0) | 2013.01.18 |
지속가능성보고서에 대여... (0) | 2013.01.18 |
먼 길을 떠나는 여정 (0) | 201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