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octoral course

교재: STRATEGIC MANAGEMENT: AWARENESS & CHANGE (9장_後) 이 책의 CHAPTER 9. 를 수업시간에 번역을 했었다. 앞에 부분은 다른 동료 학생이 진행했고, 뒷 부분은 내가 했다. 이 내용을 여기에 싣는다. CHAPTER 9. 전략 리더십, 기업가정신과 사내 기업가 정신 Strategic leadership, entrepreneurship and intrapreneurship 뒷부분... 9.3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hip 볼튼과 톰슨(2000)은 기업가에 대한 정의를 ‘지각된 기회로부터 인식된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해 습관적으로 창조하고 혁신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기업가는 조직을 만들고, 이끌어 가고, 또 종업원으로서 조직에서 일할 수도 있다. 마지막의 경우에 해당할 때 우리는 특별히 사내기업가라고 한다. 이제 우리는 두.. 더보기
5월말 수업시간 내용 강대석 교수님 수업시간에 말씀하신 내용. ㅇ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를 읽어봐야 한다. (그 외에 구글에서 인사조직 Top Journal 을 찾아봐야 한다.)ㅇ 그 외 중요한 논문 저널은 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경영학연구 AMJ AMR SMJ ㅇ 조직론의 범주 micro macro OB OT HRM Strategy 더보기
탐색요인분석 (1) - 강의 필기 탐색요인분석 (2013.5.25) 초기에는 브랜드 속성으로 차별화한다. 제품의 본연의 속성을 가지고 차별화를 한다. 그러나 제품경쟁이 성숙되면, 제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은 거의 유사한 수준까지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그 이후에는 그 이외의 수단으로 차별화를 하는데 그것이 brand personality(브랜드 개성)라고 한다. . 동 논문에서 제시한 접근방법에 대해서 검토를 하면서 이해하자. (조직행동론에서도 많이 쓰는 방법이다.) Aaker의 BPS 개발과정 42개의 단어(형용사)를 추려 내어, 5개 카테고리로 나누었다. 설문지에 사용하는 질문들, 브랜드개성척도 (brand personality scale: BPS)를 개발 36개 브랜드로 4개의 브랜드 그룹을 만들고 “1개의 중심브랜드(Levi’.. 더보기
ACTION RESEARCH 란? 현장연구는 "현장교사나 동료교사나 대학연구자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교육실천을 스스로 체계적, 반성적으로 탐구하여 개선하는 것"을 근본적 특징으로 한다(강신복, 최의창, 1994; 최의창, 1993). 교육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정의를 하고 있다. Oberg 와 McCutcheon(1987)는 자신들이 하는 일을 보다 잘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이거나 나은 상태로 개선시키려는 목적으로 자신이 하는 일들에 초점을 맞추는 전문가들에 의한 모든 형태의 체계적 연구(p. 117)라고 하며, McKernan(1987)는 교사로 하여금 어떤 상황속에서 발생한 문제를 보다 잘 이해하고 해결하도록 하는 일정의 자기반성적 문제해결방법(p. 6)이라 했다. Kemmis와 McTaggart(1988)는 어떤 상황내에서 자신들이 하.. 더보기
텀페이퍼 - 논문 proposal 2013. 5. 23. 조직혁신론세미나- 학기말에 논문 proposal 제출 (기말대체) / 6월 13일 종강(이에 대해 약간의 발표) / 20일 까지 e-mail 제출 ㅇ 왜 연구가 필요한가? -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서 ㅇ 연구내용 - 하려고 하는 내용 - 왜 이 데이터를 사용해야 하고 왜 이러한 근거가 필요한건지 설명해야 ㅇ 연구가설 (입증하려고 하는 question) - 가설이 잉태되는 근거 (상상력이 있어야) ㅇ 연구방법 - 무슨 방법을 쓸건가 - 외국저널의 논문을 읽어 방법론 참고 (AMJ 혹은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참고) 더보기
기업의 전략을 생각해 보니, 기업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기업의 전략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기 위해서는…… 전략의 정의는 다채롭다!!! 기업은 이윤추구를 한다고 말할 수도 있고 누군가는 social responsibility를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기업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전략적이라는 말은 기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에 한정지어서 표현하기 어렵다. 하지만 아직까지의 학술적 관점에서 기업의 정의는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으로 규정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패러다임의 변화가 수반되지 않으면 이러한 일반화된 정의를 바꾸기는 어렵다. 우리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도 기업의 영역으로 들어오면 결국 기업의 이윤추구가 최소한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연구자로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 기업에 대한 내 생각은 어떤지, positi.. 더보기
Early Theories of Leadership (2) 최근 10년간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는 연구자가 특별한 개인적 특성의 형태로 기업가정신을 규명하려는 시도에 따라 리더십 특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켜왔다. 기업가와 경영자, 기업가와 부하 간에는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였다(블라와트, 1998). 특성이론은 독립적이고 혁신적인 사상가, 리스크 선호자, 부(wealth)를 추구하는 사람으로서 기업가를 특징지었다. 이것은 기업가가 지닌 개인적 특성이 부하와 구별되는 리더의 특성과 비슷해 보인다. (표 6.2) 요약하면, 개인 특성의 역할은 리더십을 실제 행하는 사람과 학자들 간의 논쟁과 연구의 초점에 남아 있다. 특성은 “내재적” 리더십이론에서 연구주제로 계속 다뤄진다(켈러, 1999). 그리고 개인 특성변수는 업무집단에서 리더의 창발성에 대한 설명을.. 더보기
Early Theories of Leadership (1) 이 장에서는 리더십 특성이론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르윈, 리피트 그리고 화이트 (1939)가 수행한 리더십 행동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탐구해보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과 미시건 대학의 1950년대와 1960년대 연구를 검토할 것이다. 리더십에 대한 초기 연구는 리더가 갖는 특별한 질적 속성에 집중한다. 리더를 부하들과 구별하는 특성에 대한 연구는 역사적으로 ‘초인’에 대한 이론에서 영향을 받았다. 링컨, 처칠, 간디, 포드와 같은 사람들은 뛰어난 자질을 타고 났고 이들에 의해 조직과 국가의 운명이 달려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위대한 사람들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통할 수 있는 힘을 갖고 태어나고 만들어 낼 수 있는 사람이라는 이론이다. 다양한 리더에 대한 개인속성 혹은 특성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 .. 더보기
습관의 힘(The power of habit) - Charles Duhigg "습관의 힘" 내용을 기반으로 함께 이야기를 나눈 내용들... 정리. - “체화”를 이야기 해 보자. “왜” 기업이 성공할까? 라는 관점에서 보면, 만일 전략도 동일하다면 결국 성공하는 기업과 실패하는 기업간의 차이는 전략도입의 방향성이 다른 것이 아니라 전략을 받아들이는 세계가 다르다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습관이 아닐까. -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는 사회에도 유전자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것이 습관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 일본의 노나까 교수의 저서는 읽어볼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routine”이라는 것은 외부에서 들어온 지식을 어떻게 내부에서 소화하는가?에 대한 답이다. 경제학.. 더보기
CSR이 기업만의 노력으로 성과를 내기 어려운 이유 가족기업, 위계적 기업, 네트워크형 기업으로 구분해 본다면, 이 중 위계적 기업이 대부분 MNC이며 큰 제조업체의 경우 이에 해당한다. 이런 기업은 그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자원을 사용해야 하고 (제도로서의 기업 문화의 기억과 저장에) 그 결과 새로운 기업의 진입을 어렵게 하는 차별화요소가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새로운 환경에 기업조직 스스로가 적응하기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그 기업을 둘러싼 사회의 정치적, 법률적 조건이 동인으로 작용해야 환경에 적응하면서 기업이 발전하기 유리하다. CSR이 기업만의 노력으로 성과를 내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 있다. 더보기